자동차 겨울철 기능 히터와에어컨/ESP버튼/ +,- 기능 이 세가지 기능에대해서 잘 아시나요? 겨울철에 자주 쓰이는 기능들 입니다. 하지만 이런기능이 있다는걸 모르고 계시는 분들을 여럿 보았습니다.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이 글을 써봅니다. 시작합니다.
1. 히터와 에어컨
히터와 에어컨에대해서 모르시는 분들은 많이 없으시겠지만은 많이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셔서 이 제목을 다루게 됬습니다. 한번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히터부터 봅시다. 가정용 히터와는 다르게 차에 있는 히터는 온도를 높이는데 따로 연료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 왜냐하면 운행중에 엔진이 자연스럽게 뜨거워지고 여기에 그냥 팬만 돌려서 이용하기 때문에 뜨거운 공기들이 차 내부에 들어와 따뜻해지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아무리 몇분이든 몇시간이든 틀어놓아도 연비에는 거의 차이가 없고, 연료소모에는 50원 정도니까 무시해도 되는 정도입니다.자 그럼 테슬라같은 전기차는 어떨까요?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내연기관의 고열이 없기때문에 따로 히팅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게 생각보다 전기소모가 엄청납니다. 특히 겨울철엔 난방때문에 배터리 효율이 20%-30%나 낮아집니다. 똑같이 충전해도 원래는 100km갈것을 70km밖에 못가는 겁니다. 다음은 에어컨 입니다. 히터가 연비에 거의 영향이 없는 것과는 다르게 에어컨은 켜놓으면 보통 10%정도의 연비 하락을 가져옵니다. 그리고 에어컨은 단순히 공기만 차갑게 만드는걸로 알고있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럼 반만 알고계신 겁니다. 에어컨디셔너의 약자인 에어컨은 단어 그대로 습기조절등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실 온도를 낮추는건 여러기능들중 하나인것입니다.그래서 에어컨과 히터를 동시에 트는게 가능한겁니다. 동시에 틀게 되면 겨울철에 특히 심한 결로현상을 막아주고, 히터때문에 너무 덥고 건조한것을 완화시켜주기 때문입니다.에어컨은 컴프레셔가 연료를 제일많이 먹는데, 그래서 적당한온도로 계속 켜놓는것보단 낮은온도로 잠깐씩 강하게 트는것이 연비에 훨씬 좋아서 추천드립니다.
2.ESP 버튼
이기능은 원래 켜져있는게 기본상태입니다. 반대로 껏을때 알림이 뜨는 이상한 버튼입니다. 바로 자동차 타이어 열선기능 또는 ESP버튼이라고 합니다. 이게 왜 겨울철에 필요한 기능인지 알아봅시다. 일단 ESP기능은 버튼하나로 끌수 있어서 별거 아니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사실 이 ESP버튼이 자동차의 첨단 기술이 집약된 엄청 복잡한 기능입니다. 90년대 벤츠 s클래스 에세부터 기본 장착된후로 우리나라에서 2012년 신차부터 의무장착된 기능입니다. 수많은 부품과 센서가 유기적으로 작동해서 1초도 안되는 짧은 시간에 미끄러지거나 전복되지 않게해주는 기능입니다. 보험사에서도 ESP장착차량에 괜히 보험할인을 해주는게 아닙니다. 근데 이 좋은 기능을 왜 버튼하나로 끌 수 있게 만든것일까요? 만약 여러분들이 눈구덩이에 빠졌을경우 헛돌기만하고 나오지 못할때가 있다고 가정했을때 ESP기능이 자동으로 개입되서 바퀴를 잡았다 놨다 반복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히려 더 깊게 파이기만 하죠. 이때는 반대로 ESP버튼을 눌러 끄면 한번에 쭉 가속해서 나올수 있습니다. 이런 안전운전을 위한 ESP기능이 이때는 오히려 방해가 됩니다. 자동차 성능 테스트를 할때나 레이싱카들이 ESP가 없는 이유도바로 이런 개입을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일방적인 운행중에는 실수로라도 ESP가 off로 되어있다면 바로 켜주시길 바랍니다. 이 기능이 요즘같은 겨울철, 빙판길에서 우리의 생명을 살릴수도 있습니다.
3.+,- 기능
요즘 젊은친구들이 잘 모르는 기능인데요. 이 기능이 겨울철에 왜 중요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여러분들은 블랙아이스라고 들어보셨나요?? 블랙아이스는 도로위에 아주 얇게 얼음막이 쳐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운전자 눈에는 잘 보이지가 않기떄문에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가 멈추지 않고 미끄러지게 됩니다. 당사자들은 짧은시간에 이렇게 죽는거구나 싶을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블랙아이스도 이 +,- 기능만 쓸수있다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요즘차는 대부분 다 오토라서 왠만하면 다 D로 두고 운행을합니다. D에서 기어를 옆으로 밀면 오토에서 수동으로 변속을 하게 됩니다. +방향으로 올리면 1단이 올라가고 -방향으로 내리면 1단이 내려갑니다. 계기판을 보시면 수동으로 변속하실경우 D에서 숫자로 변경되는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이 수동변속기로 엔진브레이크를 잡을수 있습니다. 수동변속으로 기어를 내리게 되면 브레이크를 밟지 않아도 속도가 내려가는것을 느끼실수 있습니다. 바로 이것이 엔진 브레이크 입니다. 노면이 얼어있을때나 내리막 경사가 있는곳에서 발로 브레이크를 밟으면 쭉 미끄러질 위험이 있지만, 수동변속을 통해서 엔진브레이크가 같이 활용하면 안정적으로 제동을 할수 있게 되고 휠도 덜 잠기게 됩니다. 물론 평상시에는 크게 쓸일이 없는게 맞지만 요즘같은 겨울철에 중요한 순간에 꼭 사용할수 있으실 겁니다.
이렇게 겨울철 유용한 여러 기능들으 가져왔습니다. 좋은 정보 얻어가셨기를 바라면서 이번 글을 마칩니다.
'자동차 꿀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타이어 정보 노란색점,빨간색점/타이어 교체 팁/타이어 눈탱이 안당하기 (0) | 2023.02.07 |
---|---|
자동차 꿀팁 3가지 자동차 시동버튼/여름철 차 밑에 물생김/자동차 냉장고기능 (0) | 2023.02.07 |